정보처리기사/정보처리기사 실기

[10과목]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

jooon 2022. 10. 17. 21:25

소프트웨어 테스트 원리 -  (두음 암기법 :  결완초집 살정오)

결함 존재 증명
완벽 테스팅은 불가능
초기 집중
결합 집중
살충제 페러독스
정황 의존성
오류 부재의 궤변

소프트웨어 테스트 산출물

테스트 계획서 – 테스트 수행을 계획한 문서
테스트 베이시스 – 분석, 설계 단계의 논리적인 케이스로 테스트 설계를 위한 기준
테스트 케이스 – 요구사항을 준수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대 결과로 구성된 테스트항목 명세서
테스트 슈트 – 시나리오가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테스트 케이스들의 모음
테스트 시나리오– 테스트 되어야 할 기능 및 특징, 테스트가 필요한한 상황을 작성한 문서
테스트 스크립트 – 테스트 케이스의 실행 순서를 작성한 문서
테스트 결과서 – 테스트 결과 평가, 리포팅하는 문서

정적 테스트 – 테스트를 실행하지 않고 구조를 분석하여 논리 검증
동적 테스트 –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하여 결함을 검출

화이트박스 테스트 – 응용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와 동작을 검사하는 테스트

테스트 유형
구문 (Statement) 커버리지 : 모든 명령문을 적어도 한번 수행
결정 (Decision) 커버리지 : 결정 포인트 내의 전체 조건식이 적어도 참과 거짓을 결과로 수행
조건 (Condition) 커버리지 : 결정 포인트 내의 각 개별 조건식이 적어도 한번 참과 거짓의 결과가 수행

조건/결정 커버리지 : 전체 조건식뿐만 아니라 개별 조건식도 참 한번, 거짓 한번 결과 수행
변경(Modified) 조건/결정 커버리지 : 개별 조건식이 다른 개별 조건식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체 조건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함으로써 조건/결정 커버리지를 향상시킨 커버리지
다중 (Multiple) 조건 커버리지 : 조건 내 모든 개별 조건식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100% 보장

기본 경로(Base Path) 커버리지 : 수행 가능한 모든 경로 테스트
제어 흐름 (Control Flow) 테스트 : 제어 구조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어 내부로직 테스트
데이터 흐름(Data Flow) 테스트 : 제어 흐름 그래프에 데이터 사용현황을 추가

루프 (Loop) 테스트 : 반복구조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

두음 암기법 : 구결조 조변다 기제데루

블랙박스 테스트 –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수행하는 테스트

테스트 유형
동등분할 (Equivalence Partitioning) 테스트: 유효값/무효값을 그룹핑하여 대푯값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여 테스트
경계값 분석 (Boundary Value Analysis) 테스트 : 최소값 바로 위, 최대값 바로 아래 등 입력값의 극한의 한계를 테스트
결정 테이블 (Decision Table) 테스트 : 요구사항의 논리, 발생조건의 테이블 형태로 나열하여 조건과 행위를 모두 조합하여 테스트
상태 전이(State Transition) 테스트 : 이벤트에 의해 다른 상태로 전이되는 경우의 수를 수행하는 테스트

유스 케이스 (Use Case) 테스트 : 유스케이스로 모델링 되어 있을 때 프로세스 흐름 기반으로 케스트를 명세화하여 수행
분류 트리(Classification Tree Method) 테스트 : SW의 일부 또는 전체 트리구조로 분석 및 표현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
페어와이즈 (Pairwise) 테스트 : 데이터값들 간에 최소한 한 번씩 조합하는 방식
원인-결과 그래프(Cause-Effect Graph) 테스트 : 그래프를 활용하여 데이터 간의 관계 및 출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여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 선정
비교 (Comparison) 테스트 :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같은 입력값을 넣어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 테스트

오류 추정 (Error Guessing) 테스트 : 개발자가 할 수 있는 실수 범위 추정하고 결험이 검출 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여 테스트

두음 암기법 : 동경결상 유분페원비오

테스트 시각에 따른 분류
검증(Verification) - 개발자 관점
확인(Validation) - 사용자 관점

테스트 목적에 따른 분류

회복(Recovery) 테스트 – 고의로 실패를 유도, 시스템 정상적 복귀여부 테스트
안전(Security) 테스트 – 소스 코드 내의 보안적 결함을 미리 점검
성능(Performance) 테스트 – 사용자 요구에 시스템이 반응하는 속도 등 측정
구조(Structure) 테스트 – 내부 논리 경로, 소스 코드의 복잡도 평가
회귀(Regression) 테스트 – 오류 제거와 수정에 의해 새로 유입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일종의 반복 테스트
병행(Parallel) 테스트 – 변경된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에 동일한 데이터 입력 후 결과 비교

성능 테스트의 상세유형

부하(Load) 테스트 – 시스템의 임계점을 찾는 테스트
강도(Stress) 테스트 – 임계점 이상의 부하를 가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에서의 처리 테스트
스파이크(Spike) 테스트 – 짧은 시간에 사용자가 몰릴 때 시스템 반응 측정 테스트
내구성(Endurance) 테스트 – 오랜 시간 동안 시스템에 높은 부하를 가하여 시스템 반응 테스트

 

리뷰 – 산출물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거나 프로잭트 진행 상황 검점하는 활동

동료검토(Peer Review) – 2~3명이 진행하는 리뷰 명세서 작성자가 요구사항 명세서를 설명
인스펙션(Inspection) – 전문가 또는 팀이 검사하여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을 찾아냄
워크스루(Work Throughts) – 검토 자료를 회의 전에 배포하여 검투 후 짧은 시간 동안 회의

테스트 오라클 – 테스트의 결과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된 참값을 입력하여 비교

참 오라클 – 모든 입력값에 대하여 기대하는 결과를 생성, 발생된 오류를 모두 검출할 수 있음
샘플링 오라클 – 특정한 몇 개의 입력값에 대해 기대하는 결과 제공
휴리스틱 오라클 – 샘플링 오라클 개선한 오라클
일관성 검사(Consistent) 오라클 – 수행 전과 후 결과값이 동일한지 확인하는 오라클

테스트 레벨 종류

단위 테스트 –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춘 테스트
통합 테스트 – 각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관련 오류 및 결함을 찾아내기 위한 테스트
시스템 테스트 – 통합된 단위 시스템의 기능이 시스템에서 정상적으로 수행 되는지 점검하는 테스트

인수 테스트 - 계약상 요구사항이 만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단계

시스템 테스트 종류
기능적 요구사항 테스트 – 블랙박스 테스트, 요구사항 명세서
비기능적 요구사항 테스트 – 화이트박스 테스트, 성능 테스트, 회복 테스트 등

인수 (Acceptance) 테스트 – 이해관계자 등이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개발된 제품에 대해 운영 여부를 결정하는 테스트

 

인수 테스트 종류 

알파 테스트 - 선택된 사용자가 개발자 환경에서 통제 된 상태로 개발자와 함께 수행하는 테스트

베타 테스트 - 실제 환경에서 일정 수의 사용자에게 대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하고 피드백 받는 테스트

단위 테스트 – 목 객체 생성 프레임워크

-. 목 객체는 개발자가 수작업으로 만들거나 목 객체 생성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생성

목 객체 유형
더미 객체 – 테스트 할 때 객체만 필요하고 해당 객체의 기능까지 필요하지 않는 경우 사용
테스트 스텁 – 제어 모듈이 호출하는 타 모듈의 기능을 단순히 수행하는 도구
테스트 드라이버 – 테스트 대상 하위 모듈을 호출하고, 파라미터 전달하고, 모듈 테스트 수행 후 결과 도출
테스트 스파이 – 테스트 대상 클래스와 협력하는 클래스로 가는 출력 검증
가짜 객체 – 실제 협력 클래스의 기능을 대체해야 할 경우에 사용


통합테스트 종류
하향식 통합 – 메인 제어 모듈에 통합되는 하위 모듈과 최하위 모듈은 깊이-우선 또는 너비-우선 방식으로 통합
상향식 통합 – 최하위 레벨의 모듈 또는 컴포넌트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제어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구축과 테스트 수행
샌드위치 통합 – 상향식 통합 테스트와 하향식 통합 테스트 방식을 결합한 테스트 방식
빅뱅 테스트 – 모든 모듈을 동시에 통합 후 테스트 후행 (드라이버/스텁 없이 모듈로 테스트)

테스트 하네스 –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코드와 데이터

구성요소
테스트 드라이버 – 테스트 대상 하위 모듈을 호출, 모듈 테스트 수행후의 결과 도출(상향식 테스트에 필요)
테스트 스텁 – 제어 모듈이 호출하는 타 모듈의 기능을 단순히 수행하는 도구 (하향식 테스트 필요)
테스트 슈트 – 테스트 대상 컴포넌트,모듈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테스트 케이스의 집합
테스트 케이스 – 입력값, 실행조건, 기대 결과 등의 집합
테스트 시나리오 -테스트가 필요한 상황을 작성한 문서
테스트 스크립트 – 자동화된 테스트 실행 절차에 대한 명세
목 오브젝트 – 사용자의 행위를 조건부로 사전에 입력해 두면, 예정된 행위를 수행하는 객체

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 지표

처리량 (Throughput) – 주어진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수
응답시간 (Response Time) – 입력이 끝난 후 응답 출력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
경과시간 (Turnaround Time) – 입력한 시점부터 트랜잭션을 처리 후 그 결과 출력까지의 시간
자원 사용률 (Resource Usage) – 트랜잭션 처리하는 동안 사용하는 CPU,메모리,네트워크 사용량

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
Bad Code – 다른 개발자가 로직을 이해하기 어렵게 작성된 코드
Bad Code 사례
외계인 코드 – 아주 오래되거나 참고문서 또는 개발자가 없어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운코드
스파게티 코드 – 작동은 정삭적으로 하지만 사람이 코드를 읽으면서 그 코드의 작동을 파악하기 어려운 코드
알 수 없는 변수명 – 변수나 메서드에 대한 이름 정의를 알 수 없는 코드
로직 중복 – 중복되게 작성된 코드

Clean Code -가독성이 높고, 단순하며 의존성을 줄이고, 중복을 최소화한 코드
Clean Code의 작성원칙
가독성
단순성
의존성 최소
중복성 제거
추상화

두음 암기법 : 가단의 중추

소스 품질 분석도구 유형
정적 분석 도구 – 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고 코딩 표준 준수 여부 등 확인하는 도구
동적 분석 도구 –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코드의 잔존하는 메모리 누수현황 등 체크 하는 도구

리펙토링(Refactoring) –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, 복잡한 소스 코드를 수정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것

반응형